율리우스일
기본 설명
율리우스일(Julian Day, JD)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시간 측정 단위로, 시간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기록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다. 날짜와 시간을 연속된 숫자로 표현해 천문 계산을 단순화한다.
1. 율리우스일 정의
BC 4713년 1월 1일 정오(세계시, UT1)를 기점으로 경과한 일수다. 기준점은 고대 문명 관측 기록이 나타난 초기 시점이며, 고천문학 발굴 자료와 천체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했다.
2. 율리우스일과 시간
율리우스일은 정수로 날짜를 표시하고, 소수점을 이용해 시간을 기록한다. 시간대는 세계시(UT1)를 따른다.
·2451544.50 : 2000.1.1 00:00
·2451545.00 : 2000.1.1 12:00
·2451545.49 : 2000.1.1 23:45
3. 율리우스일 장점
· 날짜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표현
· 날짜 간 경과 일수를 쉽게 계산
· 날짜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표현
4. 수정 율리우스일
율리우스일에서 2400000.5를 뺀 값으로, 자정을 기준으로 하는 간결한 표현 방식이다. 위성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5. 율리우스일의 천문학적 용도
· 천체 운동 계산
· 천문 관측 기록
· 일식, 월식 예측
· 변광성 연구
6. 그레고리력→율리우스일 변환 공식
※여기서
※위 공식에는 윤년 규칙이 반영됨.
1. 율리우스일 정의
BC 4713년 1월 1일 정오(세계시, UT1)를 기점으로 경과한 일수다. 기준점은 고대 문명 관측 기록이 나타난 초기 시점이며, 고천문학 발굴 자료와 천체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했다.
2. 율리우스일과 시간
율리우스일은 정수로 날짜를 표시하고, 소수점을 이용해 시간을 기록한다. 시간대는 세계시(UT1)를 따른다.
·2451544.50 : 2000.1.1 00:00
·2451545.00 : 2000.1.1 12:00
·2451545.49 : 2000.1.1 23:45
3. 율리우스일 장점
· 날짜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표현
· 날짜 간 경과 일수를 쉽게 계산
· 날짜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표현
4. 수정 율리우스일
율리우스일에서 2400000.5를 뺀 값으로, 자정을 기준으로 하는 간결한 표현 방식이다. 위성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5. 율리우스일의 천문학적 용도
· 천체 운동 계산
· 천문 관측 기록
· 일식, 월식 예측
· 변광성 연구
6. 그레고리력→율리우스일 변환 공식
JD = 367Y - ⌊7(Y + ⌊(M + 9)/12⌋)/4⌋ + ⌊275M/9⌋ + D + 1721013.5 + (h + m/60 + s/3600)/24
※여기서
Y
, M
, D
는 년, 월, 일이고 h
, m
, s
는 시, 분, 초다. ⌊ ⌋
는 내림 함수다.※위 공식에는 윤년 규칙이 반영됨.
ṡ 율리우스일 계산기
이곳에 결과가 표시됩니다
ṡ 날짜 계산기
이곳에 결과가 표시됩니다